안녕하세요 오늘은 12월자 탑다운 분석을 올려드립니다.지난 탑다운 분석 보기2018/11/20 - [경기상황분석] - 2018. 11. 탑다운 분석 및 중장기 전망2018/10/10 - [경기상황분석] - 2018. 10. 탑다운 분석2018/09/14 - [경기상황분석] - 2018. 9. 탑다운 분석2018/08/22 - [경기상황분석] - 2018. 8. 탑다운 분석 매달 탑다운 분석을 올려드리고 있는데요, 개인적으로는 탑다운(거시경제) 분석을 통해 시장 분위기를 파악하고, 주식 투자에 나서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내주고 있어서 매달 경제지표를 파악하고 있습니다. 2018/082018/092018/102018/112018/12한국GDP성장률(YoY)2.90%2.80%2%2%2%미국GDP성장률(QoQ..
안녕하세요 오늘은 11월자 탑다운 분석을 올려드립니다.지난 탑다운 분석 보기2018/10/10 - [경기상황분석] - 2018. 10. 탑다운 분석2018/09/14 - [경기상황분석] - 2018. 9. 탑다운 분석2018/08/22 - [경기상황분석] - 2018. 8. 탑다운 분석 매달 탑다운 분석을 올려드리고 있는데요, 개인적으로는 탑다운(거시경제) 분석을 통해 시장 분위기를 파악하고, 주식 투자에 나서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내주고 있어서 매달 경제지표를 파악하고 있습니다. 2018/082018/092018/102018/11한국GDP성장률(YoY)2.90%2.80%2%미국GDP성장률(YoY)4.10%4.20%3.50%ISM신규주문지수60.265.161.857.4ISM구매관리자지수58.161.35..
지난 경기상황 분석 보기2018/08/22 - [경기상황분석] - 2018. 8. 국내 경기상황 분석2018/09/14 - [경기상황분석] - 2018. 9. 탑다운 분석2018/09/19 - [경기상황분석] - 2018. 9. 국내 경기상황 분석2018/10/10 - [경기상황분석] - 2018. 10. 탑다운 분석 안녕하세요 2018. 10. 국내 경기상황 분석을 올려드립니다. 매달 국내 경기상황에 대해 체크해보고 있는데요, 국내에 투자하고 계신분들이라면 한번정도는 참조해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. 매크로가 주식시장과 100% 일치하진 않습니다만 어느정도 상관성을 갖고는 있으니깐요. 2018년 6월 국내경기상황2018년 7월 국내경기상황마지막으로 2018년 8월 국내경기상황입니다.(업데이트가 늦어서 8월이..
안녕하세요 오늘은 10월자 탑다운 분석을 올려드립니다. 2018/09/14 - [경기상황분석] - 2018. 9. 탑다운 분석 2018/08/22 - [경기상황분석] - 2018. 8. 탑다운 분석 매달 탑다운 분석을 올려드리고 있는데요, 개인적으로는 탑다운(거시경제) 분석을 통해 시장 분위기를 파악하고, 주식 투자에 나서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내주고 있어서 매달 경제지표를 파악하고 있습니다. 2018/082018/092018/10한국GDP성장률(YoY)2.90%2.80%미국GDP성장률(QoQ)4.10%4.20%ISM신규주문지수60.265.161.8ISM구매관리자지수58.161.359.8한국물가상승률(전년비)1.50%1.40%1.90%미국물가상승률(전년비)2.90%2.70%2.70%미국금리2%2%2.2..
2018/08/22 - [경기상황분석] - 2018. 8. 국내 경기상황 분석 위 그림은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경기순환시계의 모습입니다.(http://kosis.kr/bcc/)각종 지표들을 도식화하여, 현재 경기상황이 상승/둔화/하강/회복 국면 중 어느 국면에 있는지를 쉽게 보여줍니다. ( 위 그림은 2018. 7.의 모습입니다. 경기순환시계가 두달정도 늦게 발표되기 때문에 현재는 7월 자료 밖에 없습니다. ) 위가 6월, 아래가 7월 경기순환시계 모습입니다. 하강 국면으로 들어간 지표들이 확실히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+) 요인수출액이 그나마 우리 경제를 지탱해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.광공업생산지수도 상승국면이고 소매판매액지수도 미약하긴 하나 6월에 비해 +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..
2018. 9. 14. 각종 경제 지표입니다. 2018082220180914 한국GDP성장률(YoY)2.90%2.8% 미국GDP성장률(QoQ)4.10%4.2% ISM신규주문지수60.265.1 ISM구매관리자지수58.161.3 한국물가상승률(전년비)1.50%1.4% 미국물가상승률(전년비)2.90%2.7% 미국금리2%2% 한국금리1.50%1.5% 미국신규실업수당천구건수212K 204KS&P500 PER24.825.15 NDX PER25.0221.4 아래는 S&P500의 PER 그래프 입니다. 아래는 씨티 서프라이즈 인덱스 차트입니다. 아래는 달러 인덱스(DXY) 차트입니다. 총평 우선 긍정적인 요인과 부정적인 요인을 살펴보고, 그 의미를 한 번 고찰해보겠습니다. 긍정적인 요인-미국 GDP 성장률-ISM신규주..
위 그림은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경기순환시계의 모습입니다.(http://kosis.kr/bcc/)각종 지표들을 도식화하여, 현재 경기상황이 상승/둔화/하강/회복 국면 중 어느 국면에 있는지를쉽게 보여줍니다. 2018. 6. 현재 우리나라 경제는 "하강" 국면에 있습니다.(-)요인1.우선 정부의 부동산 억제 정책으로, 건설 쪽이 안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2. 다음으로, 연일 뉴스에서 나오듯이 취업자수가 안좋은 상태입니다.여기에는 많은 분석들이 있지만, 개인적으로는 정부의 부동산 억제 정책이 한 몫했다고 생각합니다.건설산업은 고용유발 효과가 큰 산업이죠. 건설투자가 위축된 상태에서는취업자수도 많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.3. 설비투자지수도 안좋은 상태입니다.여러가지 요인이 있겠지만, 트럼프발..
*2018년 8월 22일자 각종 경제지표입니다. 20180822한국GDP성장률(YoY)2.90%미국GDP성장률(QoQ)4.10%ISM신규주문지수60.2ISM구매관리자지수58.1한국물가상승률(전년비)1.50%미국물가상승률(전년비)2.90%미국금리2%한국금리1.50%미국신규실업수당천구건수212KS&P500 PER24.8NDX PER25.02 아래는 S&P500의 PER 그래프 입니다. 1. 우리나라는 GDP성장률이 꺾인 상태임.경제 성장이 다소 둔화되고 있다고도 해석할 수 있지 않을까..대게 GDP성장률과 주식시장은 비례하는 관계에 있으므로, 최근 우리나라 주식시장이약세인 이유가 어느정도 설명이 가능하다. 주식시장이 작년처럼의 대세상승을 보여주려면 보다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. 2...